(평면배치 양식의 여러 모습을 보다가 장방형 평면 건물의 사례 가운데 하나로 해인사 장경판고가 나왔다. 그냥 장방형 평면이겠거니, 옆으로 긴 직사각형 건물이겠거니 하고 지나도 되겠지만, 이 건물의 모습을 사진으로나마 눈으로 보고 싶고, 최소한이나마 이 건물에 대해 알고 싶었다.워낙 이름난 절이니 많이 들어보기야 했지만, 여기에도 아직 가본 일이 없다. 아마 국사시간 팔만대장경 어쩌고 하면서 들어 지나친 정도였을까……. 옆으로 열다섯 칸이라니, 그냥 장방형이 아니라 정말 길다란 장방의 건물이구나. 더구나 이 장경판고는 그냥 문화재도 아니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까지 등록된 건물이다. 혼합지붕 양식을 공부할 때였나, 도산서원의 대청마루가 시원할 수 있는 원리에 대해 들으면서 그 원리를 가장 극대화한 건물이 바로 해인사 장경판고라던 설명을 지나가며 듣기도 했지. 지붕양식을 공부할 때는 우진각지붕 건물을 보면서 대부분 규모가 커지면서 추녀가 종도리까지 올라가지 못하곤 한다고, 중도리 쯤에서 끊기고 그 위로 추녀 뒷뿌리가 있어야 할 자리에는 단지 추녀마루를 받아주는 받침목 정도를 이어댄 것이 많더라고 설명을 듣다가 누군가 "그러면 해인사 장경판고도 우진각지붕인데 추녀를 통재로 쓰지 못했어요?" 하는 질문을 하기도 했다. 나는 해인사 장경판고가우찌 생겨먹었는지도 모르고 앉았는데……. 아무튼 그만큼 많이 언급되고 있는 건물이다. 아닌 게 아니라 엊그제 도면자료집을보는데 해인사 장경판고의 도면만 열다섯 장이던가, 아무튼 가장 많았다. 궁궐도 아니고, 대웅전도 아니고, 일종의 창고라 할 수 있는 건물 하나가 말이다.)
----------------------------------------------------------------------------------
일단 어느 블로그에서 기본 소개가 되어 있는 글을 옮겨왔다.
해인사 장경판고(海印寺 藏經板庫)
* 문화재명 : 해인사 장경판고 (海印寺 藏經板庫)
* 지정번호 : 국보 52호
* 지정연도 : 1962년 12월 20일
* 시대 : 조선시대(1488년(조선 성종 19년))
* 수량 : 건물 4동
* 크기 : 정면 15칸, 측면 2칸, 단층 우진각지붕 집
* 소재 :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 해인사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伽倻面) 치인리(緇仁里) 해인사 경내에 있는 고려대장경 판전(板殿)으로 1962년 12월 제 52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伽倻面) 가야산 남서쪽에 자리잡은 해인사(海印寺)는 통일신라 애장왕 3년(802년)에 지은 사찰로, 왕후의 병을 부처의 힘으로 치료해 준 것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지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이며,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법보(法寶)사찰이라고 부른다.
장경판고(藏經板庫)는 장경판전(藏經板殿)이라고도 하며,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8만여 장의 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로, 해인사에 남아있는 건물 중 가장 오래되었다. 처음 지은 연대는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조선 세조 3년(1457)에 크게 다시 지었고, 성종 19년(1488년)에 학조대사가 왕실의 후원으로 다시 지어 <보안당>이라고 했다는 기록이 있다. 산 속 깊은 곳에 자리잡고 있어 임진왜란에도 피해를 입지 않아 옛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광해군 14년(1622년)과 인조 2년(1624년)에 수리가 있었다.
높은 계단을 따라 보안문(普眼門)으로 들어서면 정면 15칸, 측면 2칸 크기의 두 건물을 나란히 배치하였는데, 남쪽 건물은수다라장(修多羅藏)이라 하고 북쪽의 건물은 법보전(法寶殿)이라 한다. 서쪽과 동쪽에는 정면 2칸, 측면 1칸 규모의 서고가 있어서, 전체적으로는 긴 네모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장경판을 보관하는 건물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장식 요소는 두지 않았으며, 통풍을 위하여 창의 크기를 남쪽과 북쪽을 서로 다르게 하고 각 칸마다 창을 내었다. 또한 안쪽 흙바닥 속에 숯과 횟가루, 소금을 모래와 함께 차례로 넣음으로써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평초석(平礎石) 위에 배흘림이 큰 원주(圓柱)를 세워 기둥 위에 주두(柱頭)를 올리고 대들보를 올려 직접 주심(柱心) 도리를 받게 하였으며 그 밑에 간단한 초공(草工)이 있을 뿐이다.
해인사 장경판고는 자연의 조건을 이용하여 설계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점 등으로 인해 대장경판을 지금까지 잘 보존할 수 있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장경판전은 15세기 건물로서 세계 유일의 대장경판 보관용 건물이며, 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부다피아라는 싸이트에 있는 글.
해인사 팔만대장경 장경각 - 수다라전, 법보전
* 해인사 팔만대장경 - 고려대장경 - 팔만대장경 판고
해인사 팔만대장경 장경각 법보전
대적광전 위에는 장경각(藏經閣)이 자리하고 있다. 장경각은 대장경을 모신 건물로, 이 형국은 대적광전의 비로자나 부처님께서 법보(法寶)인 대장경을 머리에 이고 있는 것을 나타내므로 더욱 뜻깊다.
국보 52호로 지정된 이 장경각을 처음 세운 연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대장경이 해인사로 옮겨진 때가 1397년임을 미루어볼 때, 지금의 건물은 조선초 무렵인 1488년 쯤에 세워졌으리라고 여겨지는데, 여러 차례에 걸친 부분적인 중수를 거쳐서 오늘에 이르렀다.
장경각은 모두 네 동으로 되어 있다. 북쪽의 건물을 법보전(法寶殿)이라 하고 남쪽의 건물을 수다라전(修多羅殿)이라고 하는데, 이 두 건물을 잇는 작은 두 동의 건물에는 사간판(寺刊板) 대장경이 모셔져 있다. 이 장경각은 지금까지 남아 있는 조선조 초기의 건축물 가운데에서 건축 양식이 가장 빼어나서 건축사적인 면에서도 퍽 중요하게 여겨진다.
무엇보다도 이 건물은 대장경을 보관하는 데에 절대적인 요건인 습도와 통풍이 자연적으로 조절되도록 지어졌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장경각의 터는 본디 그 토질 자체도 좋거니와, 그 땅에다 숯과 횟가루와 찰흙을 넣음으로써, 여름철의 장마기와 같이 습기가 많을 때는 습기를 빨아들이고, 또 건조기에는 습기를 내보내곤 하여서습도가 자연적으로 조절되게 하였다. 그 뿐만 아니라, 그 기능을 더 원할하게 하려고, 판전의 창문도 격자창 모양으로 하였으며, 수다라전의 창은 아랫 창이 윗창보다 세배로 크게 하였고, 법보전의 창은 그 반대 꼴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아주 과학적인 통풍 방법으로서, 오히려 건축 방식이 발달한 오늘날에도 따라가기가 어려운 우리 선조들의 슬기를 잘 보여준다.
해인사 팔만대장경 장경각
해인사 팔만대장경 장경각 수다라전
어느 분이해인사에 다녀오며 장경판고의 모습을동영상을 찍어올려 놓았다. 더불어 장경판고에 보관하고 있는 장경판들에대한 설명까지 함께 옮겨왔다.
문화재청 홈페에지에 들어가 검색해 보니 어느 문화재지킴이블로그 찾아졌다. 해인사 이곳저곳에 대한 사진들이 많이 있어 모두 옮겨왔다.언제가보게 될지 모르니 이렇게 사진으로나마 둘러볼 수밖에. ㅠㅠ
가야산 해인사 (伽倻山 海印寺)
합천 해인사는 신라 애장왕(哀莊王) 3년(802) 10월 순응, 이정 두 스님에 의해 창건되었다. 해인사는 신라시대에 그 도도한 화엄종의 정신적인 기반을 확충하고 선양한다는 기치 아래, 이른바 화엄십찰(華嚴十刹)의 하나로 세워진 가람이다.
이 사찰은 창건 이후 일곱 차례의 대화재를 만나 그때마다 중창되었는데, 창건 당시의 유물로는 大寂光殿 앞뜰의 3층석탑과 석등 정도가 있을 뿐이다. 특히 국보 제32호인 대장경판과 제 52호인 大藏經板庫 및 석조 여래입상(보물264)은 유명한데, 불가사의한 일은 몇 차례의 화재를 당하면서도 팔만대장경판과 장경각만은 화를 입지 않고 옛 모습 그대로 있는 일이다.
그 밖에 주요 문화재로 보물 제518호인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 보물 제128호인 반야사 원경왕사비도 있다. 통도사(通度寺, 불보佛寶사찰), 송광사(松廣寺, 승보僧寶사찰)와 더불어 삼보(三寶)사찰로 유명하다. 부속 말사(末寺)는 75개에 달하고 있다.
해인사 전경
대적광전 - 경남유형문화재 제256호
대적광전 삼층석탑
삼층석탑
해인사 홍제암(海印寺 弘濟庵)(보물 제1300호). 사명대사 유정이 임진왜란이 평정된 후 이곳에서 수도하다 여생을 보낸 곳이다.
팔만대장경판고 입구
팔만대장경 현판
장경판고 - 국보 52호
장경판고 - 국보 52호
대장경판 - 국보 32호
고려시대, 해인사 경내의 2동(棟)의 경판고(經板庫)에 보관되어 있는 대장경
범종각
해인사원당암다층석탑(海印寺願堂庵多層石塔) - 보물 518호
석조여래입상(海印寺石造如來立像) 보물 - 제264호
궁현당 - 승가대학
삼성각 -산신각, 칠성각, 독성각을 함께 모시는 전각
원당암 석등 - 보물 518호
길상탑 (보물 1242호) - 통일신라시대(895년, 진성여왕 9년)에 건립명부전, 독성각홍제암 입구보광전명부전응징전성철대종사부도탑지운대율사 사리탑비전나무숲길
'굴 속의 시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면배치 양식의 구조 6 (2) | 2010.03.02 |
---|---|
평면배치 양식의 구조 5-3 (0) | 2010.03.02 |
평면배치 양식의 구조 5-1 (0) | 2010.02.26 |
평면배치 양식의 구조 4 (0) | 2010.02.26 |
평면배치 양식의 구조 3 (0) | 2010.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