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그리 오래 걸리지 않을 줄 알았더니 꼬박 밤을 새우고도 한 나절을 더 매달려야 했다. 주말 강의를 들으러 밤기차를 타고 올라가야 할 텐데,주말 강의들을 듣고 난 뒤 돌아오는 길에 답사지 한 곳을 준비해야겠다 싶어 시작한 일이었다. 막연히 공주 쪽으로 가서 마곡사를 보고, 공산성을 둘러보고 올까 싶기도 했고 아님 내친김에 공주와 익산을 묶어 미륵사지 복원하는 현장과 숭림사를 둘러보고 오면 어떨까 싶었는데 어쨌든 어디든 일단 가게 되면 그 지역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을 다 보고 와야지 하는 마음인 거였다. 지난 번 보은 답사를 하면서도 미리 더 살펴보았더라면 工자형 평면구조에서 사례로 들었던 선병옥 가옥까지 묶어서 보고 올 수 있었을 테고, 조금 더 서둘러 움직였다면 청주 기차역으로 나오는 길에 청주의 보살사 5층석탑까지 보고 왔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기도 했으니 말이다. 서울 지역 답사를 하면서 창경궁에 갔을 때도 더 살폈어야 하는데 빠뜨리고 온 것이 많았고 말이다.
그래서강의 시간에 다룬 실제 사례들 가운데 공주, 익산 지역의 것들만 한 번 찾아보자 하고 강의록을 넘긴 것이, 아예 이참에 한 눈에 볼 수 있게끔 다 정리를 해보자 하고 덤벼들게 된 것이다. 지도를 그려놓고 지역별로 묶어가며 표시를 할까 하는 마음도 있었지만, 어차피 지역별로 답사지 이름만 떼어 묶어놓는다 해도 그 건물에서 무엇을 봐야하는지는 강의록을 보며 다시 봐야겠으니 아예 강의 순서대로 하나하나 죽 나열하듯 정리를 하는 것으로 했다. 그 때 그 때 인근 지역으로 묶는 거야 잠깐이면 될 테니 오히려 낫겠다 싶은 거였다.
강의는 모두 10주였다. 두 주는 한국건축사를 공부했고, 내일이 마지막인 뒷부분의 삼 주는 건축시공을 공부했으니 일곱 주만에 건축 구조와 양식을 압축적으로 살피며 대표 사례가 되는 건축물들을 강의실에서 다뤘다. 강의 방식은 개별 건물별로 그 하나하나를 과제 삼아 한 것이 아니라 교수님이 짠 테마를 두고, 포작 형식으로든 지붕 가구구조든 평명양식이며 입면 양식 따위로 전형과 이형을 찾으며 흐름을 잡을 수 있게 공부했기에, 때로는 어떤 건물은 다음 테마에서 다시 다루어지기도 하고, 한 사찰 안에서도 어느 테마에서는 이 건물을 다뤘다가 한참 뒤에야 다른 테마에서 그 사찰의 또다른 건물을 다루기도 했다. 그러니 강의 진도에 따라, 그 때 그 때 눈여겨봐야 하는 대목에서의 사례를 드는 거였으니 때로는 되풀이하여 나오기도 한다. 그러나 이 테마에서도 다뤄지고, 저 테마에서도 다뤄지면서 계속 거듭 이야기되는 건물일수록 그만큼 중요한 건물이라는 뜻이겠지.
사례로 든 건물들만 일단 하나하나 모두 짚어 보았다. 강의록에는 그 절이, 혹은 그 탑이며 석등이 어느 지역에 있다 하는 것까지는 표기되지 않았기에 하나하나 인터넷 검색기에 넣고 어디에 있는 것인지를 찾아보았다. 말하자면 노가다. 그러나 이렇게 지난 10주 강의록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시 뒤져보고 있노라니 그 시간들이 아련히 떠오른다. 강의 시간 필기한답시고 날림으로 적은 글자들을 보면서 당시 교수님이 했던 얘기나 내가 고개를 갸웃거릴 수밖에 없던 부분들, 하나하나 기억이 새롭다.
남영동에서의 토요일반 수업은 내일이 마지막이다. 마침 한국문화의 집에서 여는 석 달 짜리의 또다른 강좌가다다음주부터 시작한다기에 그것도 수강신청을 하고 있지만, 어쨌든 오늘로서 10주 한국건축사와 건축구조, 건축시공의 전반 모든 내용의 진도를 마친다. 마음 같아서는 바로 이어지는 문제풀이반 강의를 듣고싶지만 평일 저녁에 징검다리로 열리는 교실이라, 일을 하면서는 도무지 그 강의를 들으러 나올 수가 없다. 10주 시간 동안 한국 전통건축을 모두 잡아 먹는다는 일은 애초 가능할 수 없었다. 이제 남은 다섯 달 가운데 두 달 반은 일을 해야 할 테고 주어진 시간은 길게 잡아봐야 기껏 석 달. 아, 시간에 쫓기지 않고 즐기며 공부할 수 있다면 그야말로 너무나도 행복한 공부일 텐데, 자꾸만 이렇게 시간을 헤아리게 되고 마음이 쫓겨들어야 하는 것이 슬프기만 해.
어쨌든 이렇게 꼬박 밤을 새워답사갈 곳들을 하나하나 챙겨 놓으니이 많은 곳들을 언제 다 가보나 하는 걱정이 앞서기도 하지만, 무언가준비를 마쳐놓은 것 같아 한 편으로는든든한 마음도 든다. 힘내자. 그리고 즐겁게 하자, 행복해서눈물겨울 수 있도록…….
한국건축의 구조와 양식 강의에서 테마별로 다룬 건축물 사례 모음
LESSON 03 - 고려시대 주심포 양식의 구조 1
안동 - 봉정사 극락전
LESSON 04 - 고려시대 주심포 양식의 구조 2
영주 - 부석사 무량수전
예산 - 수덕사 대웅전
강릉 - 객사문
영주 - 부석사 조사당
LESSON 05 - 조선시대 주심포 양식의 구조
영천 -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강진 - 무위사 극락전
순천 - 송광사 국사당 / 하사당
창녕 - 관룡사 약사전
여수 - 진남관
LESSON 06 - 조선시대 다포 양식의 구조
안동 - 봉정사 대웅전
서울 - 숭례문
서산 - 개심사 대웅전
서울 - 창경궁 명정전
서울 - 경복궁 근정전
LESSON 07 - 조선시대 익공 양식의 구조
합천 - 해인사 장경판고
강릉 - 해운정
강릉 - 오죽헌
춘천 - 청평사 회전문
(영암 - 도갑사 해탈문)
서울 - 종묘 정전
서울 - 사직단 정문
서울 - 창덕궁 주합루
서울 - 창경궁 통명전
서울 - 경복궁 경회루
LESSON 08 - 조선시대 혼합 양식의 구조
강화 - 정수사 대웅보전
서울 - 창경궁 명정전
보은 - 법주사 원통보전
보은 - 법주사 팔상전
청양 - 장곡사 상대웅전
LESSON 09 - 하앙 양식의 구조
부여 - 진천왕사지 출토 금동 탑편
서울 - 금동삼존불감 (간송미술관)
김제 - 귀신사 대적광전
완주 - 화암사 극락전
LESSON 10 - 소로수장 / 장혀수장 / 민도리 가구 양식의 구조
LESSON 11 - 맞배 / 우진각 지붕의 구조
맞배지붕의 구조
안동 - 봉정사 극락전
예산 - 수덕사 대웅전
강진 - 무위사 극락전
고창 - 선운사 대웅전
우진각지붕의 구조
서울 - 숭례문
서울 - 덕수궁 대한문
LESSON 12 - 팔작지붕의 구조
영주 - 부석사 무량수전
안동 - 봉정사 대웅전
홍성 - 고산사 대웅전
산청 - 율곡사 대웅전
제주 - 관덕정
LESSON 13 - 모임지붕 / 혼합양식 지붕의 구조
모임지붕
서울 - 창덕궁 청의정
서울 - 창덕궁 존덕정
서울 - 창덕궁 낙선재 상량정
혼합지붕
안동 - 도산서당
서울 - 동묘
청양 - 장곡사 설선당
양산 - 통도사 대웅전
LESSON 14 - 온칸물림 중층구성 양식의 구조
부여 - 무량사 극락전
전주 - 풍남문
공주 - 마곡사 대웅보전
서울 - 환구단 황궁우
서울 - 덕수궁 석어당
수원 - 화성 서장대
LESSON 15 - 반칸물림 중층구성 양식의 구조
LESSON 16 - 적층형 중층구성 양식의 구조
상주 - 대산루
안동 - 송석재사
서울 - 창덕궁 주합루
순천 - 선암사 설선당
서울 - 경복궁 향원정
LESSON 17 평면(주열) 배치 양식의 구조
一자형 평면 : 부산 - 범어사 일주문
정방형 평면 : 화순 - 쌍봉사 대웅전
보은 - 법주사 원통보전
보은 - 법주사 팔상전
육각형 평면 : 서울 - 창덕궁 상량정
서울 - 창덕궁 존덕정
서울 - 경복궁 향원정
팔각형 평면 : 서울 - 환구단 황궁우
장방형 평면 : 서울 - 경복궁 경회루
(정치법) 영주 - 부석사 무량수전
예산 - 수덕사 대웅전
합천 - 해인사 장경판고
서울 - 종묘 정전
장방형 평면 : 강진 - 무위사 극락전
(무내주형)익산 - 숭림사 보광전
완주 - 화암사 극락전
산청 - 율곡사 대웅전
장방형 평면 : 완주 - 위봉사 보광명전
(전열감주) 영주 - 봉정사 대웅전
황주 - 심원사 대웅전
장방형 평면 : 서울 - 창덕궁 선정전
(후열감주) 서울 - 창경궁 명정전
순천 - 송광사 하사당
강릉 - 강릉향교 대성전
익산 - 익산향교 대성전
아산 - 아산향교 대성전
장방형 평면 : 춘천 - 청평사 회전문
(측면감주)
장방형 평면 : 부안 - 개암사 대웅전
(후열이주) 부안 - 내소사 대웅전
안동 - 봉정사 대웅전
장방형 평면 : 나주 - 벽류정
(전방위이주) 나주 - 남파정
화순 - 송석정
나주 - 칠두정
광주 - 호가정
장방형 평면 : 고창 - 석탄정
(보방향 화순 - 송석정
전후열 이주)화순 - 침수정
丁자형 평면 : 서울 - 선릉 정자각
상주 - 대산루
工자형 평면 : 안동 - 도산서당 농운정사
완주 - 위봉사 요사채
보은 - 선병국 가옥
亞(十)자형 평면 : 완주 - 송광사 종루
특수형 평면(비대칭) : 수원 - 화성 방화수류정
특수형 평면(대칭) : 서울 - 창덕궁 부용정
복잡한 평면 : 경주 - 불국사 석굴암
서울 - 경천사지 10층석탑(국립중앙박물관)
부채꼴형 평면 : 서울 - 창덕궁 관람정
LESSON 18 - 입면구성 양식의 구조
귀솟음 사례 : 부여 - 무량사 극락전
강화 - 전등사 대웅전
안쏠림 사례 : 강화 - 전등사 대웅전
도량주 : 구례 - 화엄사 구층암
안성 - 청룡사 대웅전
칸살이(동일간격) : 예산 - 수덕사 대웅전
완주 - 위봉사 보광명전
차등간격 : 여수 - 진남관
(어칸>협칸>퇴칸) : 부여 - 무량사 극락전
차등간격
(어칸=협칸>퇴칸) : 영주 - 부석사 무량수전
차등간격
(어칸<협칸(퇴칸)) : 강진 - 무위사 극락전
차등간격
(어칸>협칸<퇴칸) : 보은 - 법주사 대웅전
입면구성
고려시대 : 안동 - 봉정사 극락전
영주 - 부석사 무량수전
예산 - 수덕사 대웅전
영주 - 부석사 조사당
영천 -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포벽의 구성 : 강화 - 전등사 대웅전
황주 - 심원사 보광전
LESSON 19 - 이주법에 의한 가구구조 변화
고주 : 안동 - 봉정사 대웅전
차주두 : 청원 - 월리사 대웅전
울진 - 불영사 대웅보전
창녕 - 관룡사 약사전
구례 - 천은사 극락보전
순천 - 선암사 대웅전
영천 - 거동사 대웅전
무주 - 안국사 극락전
외편주 : 부안 - 내소사 대웅보전
영천 - 은해사 백홍암 극락전
속초 - 신흥사 극락보전
양산 - 통도사 극락전
대구 - 동화사 대웅전
고흥 - 금탑사 극락전
강진 - 백련사 대웅전 (혹시 무주 백련사?)
해남 - 미황사 대웅전
남해 - 용문사 대웅전 (혹시 양평 용문사?)
부안 - 개암사 대웅보전
통영 - 안정사 대웅전
서울 - 화계사 대웅전
군산(옥구) - 상주사 대웅전
제천 - 신륵사 극락전
팔작지붕의 측면칸
툇보에 의한 외기도리 지지 : 영주 - 부석사 무량수전
충량에 의한 외기도리 지지 : 부안 - 내소사 대웅보전
우미량에 의한 외기도리 지지 : 강화 - 전등사 대웅전
귀틀구조
보은 -법주사 팔상전
화순 - 쌍봉사 대웅전
LESSON 20 - 정자/누각의 구조
정자 건축
서울 - 창덕궁 부용정
봉화 - 수온당
고창 - 취석정
누각 건축
삼척 - 죽서루
서울 - 경복궁 경회루
남원 - 광한루
영주 - 부석사 안양루
안동 - 병산서원 만대루
LESSON 21 - 벽체/천정/온돌의 구조
천정구조
연등천정의 구조 : 예산 - 수덕사 대웅전
우물천정의 구조 : 안동 - 봉정사 극락전
층급 천정의 구조 : 부여 - 무량사 극락전
빗반자의 구조 : 강화 - 정수사 대웅전
외기반자의 구조 : 해미 - 해미읍성 문루
LESSON 22 - 석탑의 구조
백제의 석탑
익산 - 미륵사지 서석탑
부여 - 정림사지 5층석탑
신라의 석탑
경주 - 분황사 모전석탑
의성 - 탑리 5층전탑
통일신라 전형양식
경주 - 감은사지 동/서 3층석탑
경주 - 고선사지 3층석탑 (경주중앙박물관)
경주 - 불국사 석가탑
통일신라 특수양식
경주 - 불국사 다보탑
통일신라 모전석탑
구미 - 선산 죽장동 5층석탑
통일신라 전탑양식
안동 - 신세동 7층전탑
통일신라 후기양식
안강에서 영천으로 가는 28번국도 변 옥산서원 방향으로 계속 들어가면 독락당을 지나 자옥산 아래 - 정혜사지 13층석탑
구례 - 화엄사 4사자석탑
고려시대 석탑 (백제양식)
서산 - 비인 5층석탑
부여 - 무량사 5층석탑
고려시대 석탑 (신라양식)
부여 - 정산리 9층석탑
고려시대 석탑 (특수양식)
공주 - 마곡사 5층석탑
서울 - 경천사지 10층석탑 (국립중앙박물관)
강릉 - 신복사지 석탑
진부 - 월정사 8각9층석탑
조선시대 석탑
서울 - 원각사지 10층석탑 (탑골공원)
여주 - 신륵사 다층석탑
청주 - 보살사 5층석탑
LESSON 23 - 성곽의 구조 1
LESSON 24 - 성곽의 구조 2
LESSON 25 - 성곽의 구조 3
LESSON 26 -평석교 / 홍예교 / 적석교 / 기타교량의 구조
통나무 다리 : 서산 - 개심사 통나무 다리
널다리(목재 판교) : 부여 - 궁남지 널다리
널다리(석재 판교) : 논산 - 석성수탕석교
진천 - 농다리 (징검다리+널다리)
평석교 : 서울 - 살곶이 다리
서울 - 수표교
홍예교 : 경주 - 불국사 연화/칠보교, 청운/백운교
여수 - 흥국사 홍교
진도 - 남도리 쌍운교
수원 - 화성 화홍문
경주 - 월정교 교각 (복원중)
서울 - 창덕궁 금천교
서울 - 경복궁 영재교
누교 : 순천 - 송광사 우화루
LESSON 27 - 석등 / 부도의 구조
석등의 구조
통일신라 전형양식 : 영주 -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보은 - 사천왕 석등
장흥 - 보림사 석등
고려(초기) 신라형식 계승 전형양식 : 부여 - 무량사 석등
김제 - 금산사 석등
나주 - 서문석등
고려시대 고복형 양식 : 구례 -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남원 - 실상사 석등
임실 - 용암리 석등
통일신라 이형양식 : 보은 - 쌍사자 석등
서울 - 중흥산성 석등 (국립중앙박물관)
합천 - 영암사지 쌍사자석등
고려시대 이형양식(방형) : 논산 - 관촉사 석등
양산 - 통도사 석등
고려시대 이형양식 : 서울 - 고달사지 쌍사자석등 (국립중앙박물관)
(팔각형 → 방형 변화) 군산 - 옥구 발산리 석등
여주 - 신륵사 보제존자 석등
기타양식 : 대구 - 부인사 일명암지 석등
구례 -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앞 석등
조선시대 양식 : 구리 - 건원릉(태조) 장명등
구리 - 목릉(선조) 장명등
파주 - 장릉(인조) 장명등
여주 - 영능(효종) 장명등
부도의 구조
양양 - 진전사지 석조부도
서울 - 염거화상탑 (국립중앙박물관)
화순 - 쌍봉사 철감선사 징소탑
곡성 - 대안사 적인선사조륜청정탑
서울 - 흥법사 진공대사탑 (국립중앙박물관)
문경 - 봉암사 지증대사적조탑
장흥 - 보림사 동부도
서울 - 법천사지 지광국사현묘탑 (국립중앙박물관)
장흥 - 보림사 서부도
양주 - 회암사 지공선사부도
여주 - 신륵사 보재존자 석등
LESSON 28 - 기단 / 초석 / 석굴의 구조
자연석굴
경주 - 단석산 신선사
공주 - 서혈사
제주 - 산방굴사
인공석굴
경주 - 석굴암
충주 - 미륵대원
LESSON 29 - 석축 / 담장 / 지정 / 기타 구조
석축
경주 - 불국사 석축
영주 - 부석사 석축
서울 - 종묘 정전 석축
석빙고
청도 석빙고
경주 석빙고
안동 석빙고
현풍 석빙고
창녕 석빙고
영산 석빙고
해주 석빙고
첨성대 / 관천대
경주 첨성대
개성 첨성대
서울 - 창경궁 관천대
관상감 관천대